바부의 세상 훔쳐보기

IPTV의 수익모델이 뭐니?

nullzone 2009. 3. 19.
반응형

이건 나도 할말이 없긴 하다..
왜냐구?
나도 IPTV 수익모델을 고민하다가 잠시 접은 상태니까...

근데 비판할 것 비판하자...
IPTV 사업진행중 가장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곳은 어디일까?

바로 콘텐츠 비용이다...
절대로 콘텐츠가 공짜로 제공되는 건 없다. 무조건 콘텐츠의 가치를 따져서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그 비용이 직접적인 돈이 아닐지라도 말이다.)

근데 참 웃긴건
IPTV 사업한다는 사람들 머리속에 뭐가 들어 있는가 하면...
콘텐츠를 공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대한 비용 충당을 광고로 하겠다는 것이다.

오호통재라...
콘텐츠를 1억들여서 사왔다고 하면... 이 1억짜리 콘텐츠에 광고를 1억원 받고 팔아야 한다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그렇다는 것이니 이런 저런 이야기는 하지 말자...)
광고시장에 종사하는 분들에게 대 놓고 물어봐라..
이게 우리나라 시장에서 가능한가?

공중파의 광고비용과 비교해 보면 디게 작은 금액이라고?
잘 생각해봐라... 왜 다른지...



모기업에서 클리어스킨이라는 광고기법이 차세대 IPTV의 광고모델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한 걸로 기억되는데...

클리어스킨 형태의 모델을 온라인으로 옮겨와서 광고를 한다고 하면 잘될까?
잘되고 못되고를 떠나서 IPTV보다 온라인에서 구현하기 무지하게 쉽지 않을까?
그런데 왜 못할까? 라는 생각은 안해봤나?

사실 광고기법 및 모델은 온라인이 가장 발전되어 있다.
그럴수 밖에 없는게 온라인 자체는 양방향 그 자체이고... 또한 구현자체도 쉬울 뿐더러
조금 복잡한 광고모델이라도 온라인 사용자들은 이를 쉽게 수용할 수도 있다.

반대로 가장 보수적인 광고모델을 고집하는 매체는 신문이나 TV 와 같은 올드 미디어 들이다.

그럼? IPTV의 위치는 어디인가?
TV와 온라인의 중간쯤? 아니 약간은 TV에 치우쳐 있는 매체가 아닐까?

좀 우습지 않은가?
광고모델은 최신의 기법이며 세계최초라고 이야기 하는데... 왜 그런 모델을 온라인에 적용하지 않고
TV에 가까운 IPTV에 적용하면 성공할 것이라 생각하는가?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클리어스킨과 같은 광고모델은 그 모양이나 모습, 접근방법이 달라질 수 있겠지만...성공할 것이다.
콘텐츠에서 전달해주는 영상, 사운드, 이미지 등등의 정보 외에 사용자는 더 많은 정보를 원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당장 이런 모델의 상용화라?
왠지 아직 한겨울인데... 여름의 눈부신 해변을 생각하며... 비키니입고 자랑하는 꼴이랄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