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335 <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USB로 고기를 구워보자!! USB로 고기가 구워질까? ~소고기덮밥PC(주1)따윈 눈에 안 들어와!최강의 USB 불고기 PC~ 여름이라면! 여름이다! 바다다! 바베큐다!! 여름이라면 불고기 입니다. 푸른하늘 아래서 즐기는 숯불 불고기라면 더 이상 참을수 없어요. 하지만, 현실은 꽤 힘들다는거죠. 그래서 쉽게 갈 수 없다면 적어도 기분이라도 낼 수 없을까... 그런 일을 생각하고 있으니, 문득 1년전의 굴욕이 떠올랐습니다. USB로 달걀후라이 만들기는 실패.._| ̄|○ 그리고 마음 먹었습니다. 이번에는 USB로 고기를 구워봐야 하지 않겠냐!! 라고.. 그런 이유로, USB로 고기가 구워지는지 리벤지해 보기로 했습니다. 많을수록 좋은거겠죠(웃음) 이전에 USB 포트 한개로만 시도해서 실패했었는데, 생각해보니 2.5W의 전력으로 달걀후라.. 바부의 세상 훔쳐보기 2006. 10. 18. <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노츠 개발자에서 이제는 P2P의 마법사로, 레이 오지 레이 오지 (Ray Ozzie)* 로터스 노츠 개발자 / 현재 그루브 네트웍스 CEO / 55년 출생 / 현존하는 최고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대가 중 한 사람 /* 블로그 운영 중 http://www.ozzie.net/blog /홈페이지http://groove.net 레이 오지(Ray Ozzie)는 전설적인 프로그래머다. 빌게이츠가 역사상 가장 위대한 프로그래머로 주저없이 손꼽은 인물이기도 하다. 게이츠는 "스티브 잡스?나, 그리고 레이를 제외하고는 그렇게 오랫동안 퍼스널 컴퓨팅에 대해 확고한 비전을 갖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레이 오지를 존경받는 프로그래머로 만든 소프트웨어는 그룹웨어의 대명사인 로터스 노츠. 노츠는 기업 컴퓨팅 환경에 본격적으로 협업(Collaboration) 개념을 도입.. 바부의 세상 훔쳐보기 2006. 3. 8. <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etech06] Ray Ozzie & Windows Live Beta 키노트에서 Oreilly사람들이 강력 추천했던Ray Ozzie의 발표. FireFox와 IE를 오가며 진행된 Windows Live의 시연에서 Ozzie는 더이상 로컬 소프트웨어가아닌, Real Time으로 작동하는 웹 서비스(or web-based applications)로서의 MS에 대한 강조와개발자 그룹에 클립보드를 활용한 자유로운 개발 시도를 권하는 등 변화의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어제Jessie James Garrett도" (이렇게 말하면 여러분은 어떻게 받아들일 지 모르지만)MS가 정말 노력하고 있으며, 전부일 수는 없어도 그들 중 일부는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발언했는데 빌 게이츠가 Ozzie를 인용하며 내보냈던 MS의 사내 메모(the coming services wave)가 드디.. 바부의 세상 훔쳐보기 2006. 3. 8. <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etech06] Unconventional Thoughts about Ajax Tom Syndertomsn@inetoffice.com AJAX 6 Difficult Technologies : HTML, CSS, HTTP, JavaScript, DOM ,Server Cross-Browswer (Cross-Browsing coding is pain) Conventional Programming Wisdom- Somtimes Wrong Code Size- Typical Ajax App : 10k lines 전송 속도가 느리다. Browser parse speed: IE 에서 10k 라인 parse 하는데 1/3초 FF에서는 같은 분량을 1 1/4초 Challenge : Fast and Responsive App Script run slower than native code Browser.. 바부의 세상 훔쳐보기 2006. 3. 8. <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ETech 2006] The New Community the new community by derek powazek; technoratiarchived on :powazek.com/etech06 커뮤니티 ; the C-Word : definitionCommunities happen when people have the ability to use their voicein a public &immediate way, forming intimate relationships over time. 어제 일정을 마치고 숙소로 돌아가는 길, 싱글 2.0, 아가씨 2.0 (아직 아기가 없는,결혼한 여성을 칭하는 버전) 등 버전 업에 대한 농담을나눴는데 powazek에 따르면이제 커뮤니티에도 버전이있습니다. 웹 1.0 커뮤니티 : company town웹 2.0 커뮤니티 :.. 낙서장 2006. 3. 8. <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etech06] Time & People The Economics of Attention:A Layman's View of the Economic Model of Attention 우리에게 가장 부족한 자원은 무엇일까?이 테크의 잭 니콜슨으로 소개된Technorati의 Sifry에 따르면 답은 "시간" 그는 서비스를Time, People & Information Stream의 관계로 설명했는데 그 맥락을 따라가 보면,memeorandum은 모든 사람들이 관심있어 하는 정보의 스트림Technorati의 Favorites는 나와, 내가 관심있어하는 사람들이 관심있어 하는정보의 스트림을 다루고 있다. 주제에 걸맞게 숨가쁘게 넘어간 슬라이드, 15분이란 시간에 맞춰 끝난 발표. by schul 낙서장 2006. 3. 8. <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etech06] 그냥, 알게되는 인터페이스 The Future of Interfaces is Multi-Touchby Jeff Han,Research Scientist, NYU's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User Interface? Just touch it.버츄얼 키보드와 줌인,줌아웃이 등장하는 Multi-Touch Interface 시연.Minority Report를 연상시키던 장면. by schul 낙서장 2006. 3. 8. <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 라고 태깅해 주세요 "etech나 etech06 이라고 태깅해주세요" 키노트를 기다리면서 나온 화면을 보며, "음.. 새로운 마케팅 툴인가?" 라고 슐로스가 웃으며 말했다. 낙서장 2006. 3. 8. <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Etech 2006] Beneath-the-Page Application Developme.. http://www.windley.com/archives/2006/03/rails_and_ajax_1.shtml저의 허약한 영어듣기때문에 내용이 부실한 부분을 보충해줄수 있는 블로그를 찾았습니다.거의 받아쓰기 수준으로 내용을 다 적어놓았습니다.참고해서 약간 수정했습니다. tutorial을 진행한 사람은 Rails를 만든 David Heinemeier Hansson 먼저 Ajax의 웹에서의 most important innovation이라고 하고javascript의 the Bad, the Ugly, the Good에 대해 얘기했습니다.(클린트 이스트우드 주연의 석양의 무법자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의 패러디죠) * prototypehttp://prototype.conio... 낙서장 2006. 3. 8. <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Etech 2006] creating passionate user2.0 Kathy Sierra의 tutorial 은 오전에 잠깐 들었던 플리커와는 달리 열정적인 강의와 attendee들의 참여로 후끈한 열기가 인상적이었습니다. users 2.0 이라는 개념이 인상적이었는데요, 웹2.0 (제가 '또그소리2.0'이라 명명한^^) 에 대한 우리의 논의들은 아직 프로덕 자체에 대한 담론들에 머무르있는데 반해 사용자들을 어떻게 motivate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만들어주네요. 유저의 motivate를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get their attention -> building interest -> challenging activity 라는 싸이클을 통해 pay off 를 이룬다는 이야기. 유저는 Hero 라고 정의합니다.게임개발자 출신의 강사의 백그라운드에서 나온 개념.. 낙서장 2006. 3. 8. <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Etech 2006] From Coder to CoFounder How to Move from Engineering to Entrepreneuring.. by Marc Hedlund 흥미로운 세션이다. 좋은 개발컨셉이 대중이 사용하는 서비스로 소위 대박(?)을 치면서,기술을 시작으로 하는 기업화에 관심들이 몰리고 있다. 회원수가 10만 정도만 되어도 M&A 핫이슈가 된다는 미국시장에서는..더더욱 큰 관심이 생길 수 있을 것 같다.세션에 참가자가 대부분 기업화를 꿈꾸는 개발자들이긴 하다. ^^ 세션 내용은 기업화를 원하는 개발자에게는 베스트, 그러나 결코 개발자를 위한 내용만은 아니다.세상에 가치가 있는 "Product" 세상밖으로 나오게 할 경우의 내용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 It is good to be king- Losing sucks - Building to.. 낙서장 2006. 3. 8. <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Etech 2006] The Attention Economy 하룻밤 자고 나면 데이터가 2배로 늘어나는 시대.전세계가 비슷한 고민중? The challenge is not about generating digital content.we have more than enough already.It's time to do something with that data. - from etech 2006 introduction 네이버도 비슷한 고민중. 지식iN, 블로그...바야흐로, 양질전화의 시즌. posted by indigo 낙서장 2006. 3. 8. 이전 1 ··· 96 97 98 99 100 101 102 ··· 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