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용 게임이 안되는 경우
도스용 게임이 실행이 되지 않는다.
상당히 많이 듣던 이야기입니다.
윈도우즈가 OS로 자리를 굳히기 전에 DOS에서 게임 실행시 에러를 내며 게임이 안된다거나
혹은 에러라도 나오면 좋으련만 아무런 이유도 없이 먹통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꽤나 많았던 것 같습니다.
문제는 윈도우즈 라면 에러가 난 프로그램을 종료하면 되지만 도스의 경우는 리부팅을 해야 하는 아픔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되네요..
그래서 몇가지 도스용 게임을 하실때 참고하실 내용들입니다.
이런 저런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 아래 적은 글들이 100% 확실한 것은 아닙니다.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실수도 있습니다.
1. 메모리 관리 문제로 인한 실행 불가
도스용 게임중에 많은 게임들이 EMS 메모리를 요구합니다.
쉽게 말하면 Config.sys 에서
Device = c:\...\EMM386.exe 2048 RAM
과 같이 충분한 EMS 메모리를 잡아 주세요...
(물론 컴퓨터에 충분한 메모리가 있어야 합니다.)
EMM386 뒤에 여러가지 옵션들이 따라올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위와 같이 수정하여 놓고 게임을 실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주 드문 경우이기는 하지만 EMM386대신 386MAX, QEMM등과 같은 메모리 관리자를 사용하는 경우
이는 도스에서 제공하는 EMM386으로 바꾸어 봅니다.
이유는 과거 게임프로그램들의 테스트가 MS-DOS를 기준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2. 그래픽 문제
메모리 문제 다음으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그래픽 카드에 대한 문제입니다.
잘짜여진 프로그램의 경우 그래픽카드를 셋업할 수 있는 설정을 제공하여 줍니다.
게임에 Setup, Config 등과 같이 게임에서의 옵션을 조정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실행화일이 있다면
이를 실행하여서 그래픽 카드를 설정합니다.
경우에 따라서 특정 그래픽카드와 충돌로 인하여 올바른 게임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VGA 640*480 과 같은 표준모드로 게임을 지정하여 실행해 봅니다.
자신의 그래픽 카드 사양을 모르는 경우 그래픽카드를 디텍팅 해주는 프로그램등을 이용해서
그래픽카드 사양을 알아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단, 컴에 장착된 그래픽 카드와는 다른 카드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는 굳이 자신의 카드사양에 맞추려 하지 말고 컴퓨터나 프로그램에서 인식하는
그래픽카드로 옵션을 정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프로그램중에는 그래픽카드와 관련되어서 컨피그나 옵션을 조정하여 주는 프로그램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실행화일 뒤에 옵션을 붙여서 실행하도록 만들어진 프로그램도 있으니
반드시 게임에 포함되어 있는 메뉴얼이나 메뉴얼이 없다면 실행화일 /? 와 같은 옵션을 주어서 실행을 해봅니다.
3. 사운드 카드
사운드 카드의 경우 기본적으로 게임실행에 있어서 필수적이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픽카드와 마찬가지로 Setup이나 config등을 조정할 수 있다면 이를 먼저 이용해 정확한 사운드 옵션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픽 카드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컴에 장착된 사운드 카드가 범용적이지 않은 카드라고 하면
사운드블라스터(SoundBlaster) 계열로 맞추어 봅니다. 과거 도스에서의 사운드는 사운드블라스터가
업계의 표준이였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운드카드가 사운드블라스터와 호환이 됩니다.
혹여 IRQ 와 같은 옵션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이는 게시판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4. 프로그램들 간의 충돌
일반적으로 램상주프로그램으로 알려진 프로그램들과의 충돌입니다.
V3와 같이 이름이 널리 알려진 프로그램의 경우 그 충돌이 적습니다만,
범용적이지 못한 TSR(램상주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필수적이지 않은 프로그램은 부팅시에 올리지 않고 실행해봅니다.
(도스 6.2 버전에서는 부팅시 F8을 눌러서 드라이버나 프로그램의 실행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씀드리는 프로그램은 .com, .exe의 형태뿐 아니라 Device 명령으로 올라가는
.sys 형태의 프로그램도 포함됩니다.
반대로 마우스, 시디롬 과 같은 특정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올라와 있어야 실행되는 것도 있으니 참조하십시오.
5. 그외 문제
간혹 게임중에는 캐쉬프로그램과 충돌이 있는 것도 있습니다.
스마트드라이브, 하이퍼캐쉬, 콤보캐쉬 등등 크게 문제 없어 보이지만 가능하면 Write 캐쉬는 빼고
Read 캐쉬만 사용하도록 해 봅니다.
특정 디렉토리에서만 실행되는 게임도 있습니다.
드문 경우이지만 특정게임들은 루트 하위에 특정한 디렉토리에서만 실행되거나 특정 디렉토리를 찾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게임에 포함된 메뉴얼이나 Reame 파일들을 참조하여야 합니다.
※ 게임이 인스톨된 디렉토리에 보면 의외로 실행파일들이 많이 있어서 어떤 것이 실행파일인지 아리송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Batch 파일이 있다면 이를 먼저 실행해 봅니다.
(부연 설명을 드리면 배치파일로 게임실행에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해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EXE, COM 순으로 실행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물론 게임내에 메뉴얼이나 Readme가 있다면 반드시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 게임이 실행이 되었다고 해도 가끔 보면 게임도중 게임을 종료하지 못해서
컴퓨터를 리셋시키는 경우를 자주 봅니다.
과거 게임의 경우 종료키가 쉽게 유저에게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게임들이 아래키로 종료되는 경우가 많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alt-X
alt-Q
ctrl-X
alt-X
X
Q
F1~F10
ESC
※ 컨피그 파일 수정
이 방법은 위험한 방법이나 제가 가끔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도스용 고전게임은 웹에서 다운로드 받다 보니 개인의 PC에서 실행되는 디렉토리 전체를
압축하여 올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렇다보니 업로드 한 사람은 잘되는데 다운로드 한 사람은 안된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간혹 있는 경우지만 업로드 한 사람의 PC 환경에 맞추어진 상태여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Config, Setup등과 같이 게임 옵션을 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별도로 있다면 모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 CFG 와 유사하게 보이는 파일을 삭제하고 실행하여 봅니다.
이런 경우 대부분의 게임은 가장 일반적인 옵션으로 실행되거나 혹은 새롭게 CFG 파일을 만드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글 초반에도 말씀 드렸지만
100% 완벽하게 게임이 다 된다고는 보장하지 못합니다.
단지 일반적으로 게임이 되지 않는 경우 위의 문제가 아닌가 확인해보시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추억의 컴퓨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로피 드라이브 가격이.... (0) | 2017.12.30 |
---|---|
삼성하드디스크에 얽힌 추억 (0) | 2017.12.30 |
[Game] Dragon Slayer 1 (영웅전설1) (0) | 2017.12.30 |
[Game] Dragon Slayer 2 (영웅전설2) (0) | 2017.12.30 |
Windows Live (0) | 2017.12.30 |
MS-DOS 3.21 (0) | 2017.12.30 |
MS-DOS 2.11 (0) | 2017.12.30 |
[Util] 도스용 그래픽 쉘 - WinDOS (0) | 2017.12.29 |
댓글